반응형

정부에서 공적마스크를 5부제를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5부제 판매를 간단하게 설명 드리면 1주일에 2매씩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출생년도 끝자리에 따라 구매를 할 수 있는 요일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리고 약국이나 우체국, 농협 등에서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구매 할 수 있는 요일에 가까운 약국에 방문해서 마스크를 구매하려고 해도 재고가 없어 구매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헛걸음을 하지 않게 하기 위해 정부에서 공적마스크 판매 데이터를 공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어플을 제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다양한 어플이 나오고 있는데, 오늘은 웨어마스크와 굿닥 두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웨어마스크 앱

플레이 스토어에서 공적마스크를 검색하면 나오는 어플입니다. 그런데 리뷰 평점을 보니 조금은 불안합니다. 그래도 일단 설치를 해보겠습니다.

 

 

앱을 설치하고 실행을 하면 간단한 설명이 나옵니다. 마스크를 사야 하는데 품절이고 그럴때는 앱을 활용해 주변 마스크 재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앱을 시작하기 전에 간단한 서비스 약관 동의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위치 액세스를 할지 물어보는 말이 나오는데, 편리한 기능이긴 하지만 불안하기 때문에 앱 사용중에만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는 5분 정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안내와 앱을 개발한 개발자 정보가 간단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위치기반에 동의를 하면 주변 약국을 가까운 곳부터 해서 바로 검색해 줍니다. 그리고 상단의 검색창을 통해 특정 장소를 지정해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하단에 지도 메뉴가 있긴 한데 아직은 활성화가 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일단은 공적마스크 재고를 약국 정보만 확인이 가능한거 같습니다. 우체국과 농협 데이터는 현재 준비 단계라 확인이 안되고 있습니다.

 

 

어플 더보기에 가면 전국 코로나 현황이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공적마스크를 구매할 수 있는 요일 계산기도 있습니다. 요일 계산이 어렵다면 토요일 일요일에 약국을 방문하면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단 재고가 있어야 합니다.

 

 

굿닥 - 마스크 스캐너

굿닥이라는 어플은 원래 있던 어플인거 같은데, 거기에 기능이 추가 된거 같습니다. 어플을 이용하기 위한 약관에 동의를 해야 합니다. 저는 필수만 동의 했으며 선택(마케팅 활용)은 하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마스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굿닥 앱에서도 사용중에만 위치 액세스를 할 수 있게 했습니다. 중간에 보면 마스크 스캐너가 있는데, 그곳을 클릭해 주면 됩니다. 실제 수량과 어플의 수량이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안내가 나옵니다. 

 

 

굿닥은 지도를 통해 약국 별로 남은 수량이 색으로 표현되어 있어 보기 편합니다. 초록색은 100장 이상 충분 / 주황색은 30-99장 보통 / 빨강은 30매 미만으로 부족 / 회색은 마스크 재고가 없는 상태입니다. 굿닥 앱의 장점은 확진자 동선은 물론 약국과 병원 위치를 지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플과 실제 마스크 수량이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아예 모르고 약국을 방문하는 것보다는 어플을 통화 수량을 확인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혹시 모르니 두가지 어플을 크로스 체크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거 같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